안녕하세요 인생2회차 입니다.
완전 주식 초보인 제가, 이제 주식시장에 조금씩 기웃기웃 하면서 어떤 투자를 해야 하나 고민하고 있는데요
유튜브나 다양한 사이트에서 여러가지 의견과 자료를 접하면서 역시 쉽지는 않구나 생각했습니다.
저같은 주린이 들이 입문하기에는 다양한 전문용어가 장벽을 만들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주식관련 자료를 보다 보니 너무 궁금한 용어들이 즐비하더라구요
일단 용어 정리부터 해야겠다 마음 먹고 시작해봤습니다.
주식시장 종류와 기초 용어
코스피(KOSPI) :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한국 종합 주가 지수)
대한민국 증권 시장에 상장된 상장 기업의 주식 변동을 기준 시점과 비교하여 작성한 지표
1956년 개장했으며, 1980년 1월 4일의 주가지수를 100으로 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비교해서 현재 주가지수를 숫자로 표기함
코스닥(KOSDAQ) :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
첨단벤처기업 중심 시장인 미국의 나스닥(NASDAQ) 시장을 본떠 만든 것으로 대한민국의 장외 증권 시장.
증권 거래소 시장과는 달리 별도의 성장 가능성이 높은 IT, 바이오, 문화기술 및 벤처기업이 중심이 되는 또 다른 형태의 주식 시장.
1996년 7월 1일 개설되었음.
코넥스(KONEX) : Korea New Exchange
코스닥시장 상장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벤처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장할 수 있도록 한 중소기업 전용 주식시장.
2013년 7월 1일부터 개장함.
시가총액
전 상장주식을 시가로 평가한 총액.
코스피는 약 1000~1100조 수준이며 코스피에서 가장 시가총액이 많은 삼성전자는 322조 규모.
액면가
기업이 최초로 주식을 발행할때 정한 1주당 가격.
주권표면에 적혀 있는 금액으로 주당 5천원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1천원, 5백원, 1백원 등으로 액면가가 분할되는 경우가 많음
액면이 분할되면 유통주식주가 그만큼 많아지게 된다. (현재 삼성전자는 액면분할하여 액면가가 1백원임)
상장주식수
최초 주식회사를 설립할때 투자된 자본금을 액면가로 나누어 발행을 하면서 결정
상장수식수 = 투자 자본금 / 액면가
(삼성전자 상장주식수는 약 69억주)
코스피200
한국거래소의 대표종목 200개 기업 시가총액을 지수화하여 관리하는 항목
상장 종목수의 20%이지만 시가총액의 80%를 차지하여 종합주가지수의 움직임과 거의 일치함.
1990년 1월3일 기준으로 비교하여 현재 수치를 표기함.
드디어 주식에 첫 걸음을 내딛었습니다.
이제 용어부터 차근차근 하나씩 공부해가려고 합니다.
갈길이 멀지만....꾸준히 가볼께요
언젠가 종목을 추천하고, 수익을 인증하는 그 날을 꿈꾸면서...
'돈이 뭔지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초보를 위한 기초용어 6 - 재무상태 판단 지표 (PBR, PCR) (0) | 2020.05.16 |
---|---|
주식 초보를 위한 기초용어 5 - 기업가치 판단 지표 (PER, PSR) (0) | 2020.05.10 |
주식 초보를 위한 기초용어 #4 - 재무관련 지표(POE, 부채비율, 당좌비율, 유보율) (0) | 2020.04.26 |
주식 초보를 위한 기초용어 #3 -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0) | 2020.04.24 |
주식 완전 초보들을 위한 기초 용어 #2 - ETF, ETN, 선물거래, 공매도 (0) | 2020.04.02 |
댓글